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공학 기초/네트워크

(20)
[네트워크] MAC 주소의 구조 랜 카드는 비트열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런 랜카드에는 MAC주소라는 번호가 정해져있다. 제조할 때 새겨지기 때문에 물리 주소라고도 불리는데,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로 할당되어 있다. 이 맥주소는 허브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특정한 컴퓨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럼 이 일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자. MAC주소를 사용한 통신 : OSI모델이나 TCP/IP모델에서는 헤더를 붙인다는 것을 앞서 설명한 적이 있다. OSI의 경우엔 데이터 링크 계층, TCP/IP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인다. 이더넷 헤더란 목적지의 MAC주소(6바이트) , 출발지MAC주소(6바이트) , 유형(2바이트) 이렇게 총 14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 여기서 말하는 ..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인터넷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OSI모델의 계층에서, 두번째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그 규칙들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이다.(ethernet) 허브를 활용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여러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들이 서로 부딪힐 수도 있다. 이것을 충돌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더넷은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동시에 데이터가 지나가지 않게,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더넷에서 시점을 늦추는 방법을 CSMA/CD라고 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란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복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이다. 통신하는 상대방이 멀리 있을 경우 신호가 약해질 수 있다. 그 사이에 리피터를 넣으면, 멀리 있는 상대방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요즘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기 떄문에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허브는 포트를 여러개 가지고 있다. 리피터는 일대일로만 통신이 가능하지만, 허브를 포트를 여러개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 여러대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는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컴퓨터에서 보낸 전기 신호가 허브에 도착하는 동안 노이즈의 영향으로 파형이 변경될 때가 있다. 그럴 때 허브가 파형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허..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네트워크의 전송매체에 대해서 알아보자. 들어가기에 앞서, 전송매체란 무엇인가? 전송매체란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로써, 종류는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누어진다. 유선에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이 있다. 무선에는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와선 등이 있다. 오늘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는 UTP케이블과 STP케이블이 있다. UTP 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를 두 개씩 꼬아 만든 네 쌍의 전선으로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이다. UTP케이블은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지만 저렴해서 많이 사용된다. *실드 : 금속 호일이나 금속 매듭과 같은 것으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막는 역할을 한다. STP 케..
[네트워크]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해당 글은 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계층별로 헤더가 붙여지면서,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나면 마지막에 이것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전기신호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이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 컴퓨터에 도착한다. 수신 측 컴퓨터에서는 전기 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한다.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랜 카드가 메인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내장형 랜 카드나 별도의 랜 카드를 가지고 있다. 0과 1의 정보가 컴퓨터 내부에 있는 랜 카드로 전송되고 랜 카드는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
[네트워크] 캡슐화와 역캡슐화 해당 글은 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의 앞 부분에 전송할 때 필요한 정보를담아서 보낸다.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하는데,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헤더를 하나씩 제거해나갈텐데 이것을 역캡슐화라고 부른다. 위 사진과 같이 왼쪽에서는 캡슐화를 진행해나가면서, 데이터에 헤더가 하나씩 붙여진다. 그리고 역캡슐화가 되면서, 헤더가 하나씩 해체된다. 계층5부터 계층7까지에 해당하는 응용계층에서는 웹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그 다음으로는 계층4인 전송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데,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 프로토콜, OSI모델과 TCP/IP모델 프로토콜 : 각 나라의 사람이 서로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하다. 서로 알아들 을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끼리도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규칙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프로토콜 :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 편지를 써서 다른 지역에 있는 사람에게 보내기 위해서도 규칙이 필요하다. 1)편지를 우체통에 넣어야 한다. 2)편지에 우표와 주소를 넣어야 한다. 등등의 규칙이 있다. 이렇게 서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한데, 이것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혼선이 생길 수 있다. 네트워크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토콜이라는 규칙을 정해서 소통을..
가정과 회사에서 LAN이 구성되는 원리 가정 : 네트워크는 왠와 랜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정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랜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먼저 결정해야하는 것 2가지가 있다. 1)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2)인터넷 회선 이 그것이다. 그리고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비가 있다. 그것은 인터넷 공유기라고 하는 것이다. 인터넷의 연결 방식에는 크게 유선과 무선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랜 케이블이 필요하면, 유선이고, 필요없으면 무선이라고 부른다. 회사: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눈에 띄게 다른점이 있다면,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다. DMZ란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다. 무엇을 공개하는가? 서버를 공개한다. 주로 웹 서버, 메일 서버, DNS서버를 공개한다.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