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React] 리덕스에서 상태(데이터)관리의 흐름 딱 4가지만 알고 있으면 된다. Store, Action, Reducer, Component. 이 4가지를 통해서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1)구독 : 스토어에서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보내는 행위를 구독이라고 부른다. 컴포넌트는 스토어에서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다. 다시말하지만 이것을 구독한다 혹은 연결한다 라고 말한다. 2)액션 : 컴포넌트에서 데이터가 변경되었다. 이것을 위해서 액션을 호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액션을 호출할 때 디스패치가 활용된다. -> 그러면 이제 리듀서는 이 액션이 어떤 타입의 액션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어떤 타입인지를 보고, 새로운 값을 반환해준다. 예를 들어 좋아요를 눌렀다고 했을 때, false였던 값이 true값으로 변화되었을 것이다. -> 그리고 그 값이 또 스토어에 저.. [React] 리덕스란? (리덕스의 기본개념) 리덕스는 리액트에서 상태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친구다. 왜 리덕스라는 친구가 필요해졌을까? 리액트에서 상태(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부모를 건드리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계속해서 현재 데이터의 부모가 어디있는지 찾아야하고 그것을 건드려야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 리덕스이다. 조금 더 쉽게 말하면, 리덕스는 데이터를 한 군데에 몰아넣고, 여기저기에서 꺼내볼 수 있게 해주는 친구이다. 리덕스에서 아주 기본이 되는 용어들이 있다. 그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State : 리덕스에서는 저장하고 있는 상태값(데이터)를 state라고 부른다. 값이 저장될 때는 딕셔너리 형태로 보관한다. Action : 상태에 변화가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