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5)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DNS란 무엇인가? DNS (Domain Name System) 란 어디에 사용하는 것일까. 문제상황 : 1)기억의 문제 : 아이피만 가지고 있으면 그 이름을 기억하기가 어렵다. 아이피가 200.200.200.2 라고 되어 있으면 그 아이피 주소가 너무 복잡하지 않는가? 2)변경의 문제 : 아이피주소는 변경될 수가 있다. 그래서 그 아이피 주소로 접근을 하려고하는데 변경되어버렸다면, 친구한테 전화해서 다시 물어봐야한다. DNS가 해결해주는 것 : 먼저 DNS는 전화번호부를 제공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1) 기억의 문제 : 숫자로 되어있는 아이피 주소는 기억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그 아이피 주소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을 부여한다. 그러면 이제 클라이언트는 google.com이라는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dns .. [네트워크] Port란 무엇인가? port는 아파트에서 '몇동 몇호'와 같다. 이번 시간에는 port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 단어를 직역하면 배가 도착하는 항구라는 말이다. 실 생활의 상황을 가정해보자. 우리는 하나의 피시에서 게임도 하고, 화상통화도 하고, 웹브라우저 요청도하고 있다. 이렇게되면 하나의 컴퓨터에서 3개 이상의 서버와 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이 생긴 것이다. 이제 서버에서 여러가지 패킷들이 나의 아이피로 날아올텐데, 이 패킷이 게임에 필요한 것인지, 화상통화에 필요한 것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이것을 도와주기 위한 수단이 바로 Port이다. 이전 시간에 배웠던 TCP 안에는 출발지 port와 목적지 port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아이피와 구분되어 있는 개념이다. 아이피는 목적지 서버를 찾는 것이고, port는 목적지 서버 안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분해주는 .. [네트워크] IP의 한계점을 해결하는 TCP / + UDP의 개념 앞서 ip의 한계점을 살펴본 적이 있다. 1) 비연결성 : 상대방의 서비스가 가능한지 확인이 불가능 2) 비신뢰성 : 패킷이 손실될 수도 있으며, 순서가 보장되지 않음.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TCP라는것이 나오기 시작했다. TCP/IP 4 레이어 : 먼저 이 TCP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TCP/IP 4 레이어를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네트워크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려고 할 때, 거치게 되는 순서 정도로 생각해도 될 것같다. 응용계층 : 여기서 우리의 메시지가 입력된다. 전송계층 : 이곳이 바로 우리가 지금 공부하려는 TCP와 UDP가 존재하는 곳이다. 응용계층에서 전달된 패킷에 TCP의 정보를 한번 감싸준다. 인터넷계층 : 위에서 TCP로 감싸진 패킷에 한번 더 IP로 감싸는 것이다. 네트워크.. [네트워크] IP란 무엇일까? IP의 한계점은 ? 편지의 예로 이해해보자.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 ip는 쉽게말하면 편지를 보내는 규칙 : 편지를 주소받듯이, 인터넷을 통해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서 주소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정해놓은 규칙이라고 생각하면된다. 우리는 봉투에 담아서 편지를 보낸다. 이 ip에서도 패킷이라는 단위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편지에 봉투가 있다면, ip에는 패킷이 있다. 패킷에 담을 정보 : 편지를 보낼 때면, 보내는 사람의 주소와 받는 사람의 주소, 그리고 그 봉투에 넣을 편지 내용물을 넣는다. 마찬가지로, 패킷에도 보내는 사람의 ip주소, 받을 사람의 Ip주소, 그리고 보낼 메시지를 담는다. 그리고 이 패킷을 인터넷 망으로 던진다. 슉. 그러면 인터넷 망 속에서 노드를 타고 타고 지나가면서, ip 주소에 해당하는곳까지 이동해.. [에러노트] storybook에서 globalStyle 적용하기 - styledComponenet Decorators Storybook is an open source tool for developing UI components in isolation for React, Vue, and Angular storybook.js.org 문제 상황 : 스토리북에서 globalStyle을 사용하고 싶다면, decorator를 이용하라고 소개해주고 있다. https://storybook.js.org/docs/react/writing-stories/decorators 데코레이터에 내가 만들어둔 GlobalStyles를 가져오려는데, 계속 에러가 발생한다. resolve 할 수 없댄다. 현재 나는 @theme으로 절대 경로를 지정해두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스토리북의 preview.js 파일에서는 이런 식으로 .. [2022.03.11 - TIL] 브런치 생성과 생산성 향상의 연관성 | 항해99 5기 오늘은 생산성이 꽤 높았던 하루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자면, 1.작업을 하기 전에 해야 할 일 리스트를 정리했다. 2.정리한 리스트대로 브런치를 생성했다. 3.생성한 브런치 안에서는 무조건 브런치에 해당하는 내용만 작업하도록 했다. 4.하나의 브런치 안에서 30분 안에 최대한 끝내려고 했다. (물론 그렇게 안된 브런치들도 몇개 있었지만,,) 이것과 관련된 내용을 글로 쓰면 재밌을 것 같다. 제목은 '브런치를 잘게 나누는 것이 생산성을 높이는 이유'. 언제쓰지.. 아무튼 이렇게 했더니 생산성이 매우 높아졌다. 심지어 오늘은 머리를 풀로 써서 그런지 지금 약간 토할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 오늘 여러가지 작업을 했지만, '이거했다' 말할 수 있는 적당히 큼직한 작업을 기록해보자면, 1)v8n 이라는 라.. [2022.03.07-TIL] 운영체제 공부를 위한 마인드셋 / redux-persist 오늘 한 일 : 1. 서울대 운영체제 강의 수강 - 어제 알고리즘만 공부하자고 결심했으나, 결국 그 마음을 이기지 못하고 어제 저녁에 다시 계획을 세웠다. 하루에 30분에서 1시간씩이라도 운영체제에 대한 강의를 듣고 공부를 해보자. 그래서 오늘은 서울대에서 제공하고 있는 운영체제 강의를 들었다. 오늘 처음 듣게 된 내용은 운영체제를 공부하기 위한 마인드셋이었다. 운영체제를 공부하는 것이 왜 어려운지,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해야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었다. 내가 정리해놓은 내용이다. GitHub - noy3928/TIL: 매일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는 장 매일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는 장. Contribute to noy3928/TI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 [2022.03.07] TIL - 회고록 회고는 피드백의 수단을 마련해 나의 메타인지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것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본 글의 목표이다. 오늘 공부한 알고리즘 : 투 포인터 알고리즘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 두 개의 점의 위치를 기록하면서 처리하는 알고리즘 오늘 했던 생각 : 하고 싶은 공부가 너무 많다. 운영체제도 공부하고 싶고, 시스템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알고리즘 다 공부하고 싶다. 그런데 내가 주어진 시간안에 무언가를 해내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현재 4월 8일까지 성공적으로 끝내야하는 프로젝트가 있다. 때문에 이 프로젝트가 우선순위가 된다. 이 프로젝트를 우선순위로 놓고서, 나머지 내가 하고싶은 저 공부들 가운데 우선 순위를 매길 만한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번에 저 내용들.. 이전 1 ··· 4 5 6 7 8 9 10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