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Today i learned) (79)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10620_WIL] 항해99_14일차 일주일을 돌아보는 WIL. 지난 이틀간은 TIL을 작성하지 못했다. 이유라고 하면, 단순히 내가 게을렀기 때문.. 이번주는 무엇을 했느냐? 알고리즘 공부만 주구장창했다. 전 주까지만해도 팀원들이랑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집중도가 높아졌었는데, 알고리즘 공부를 하고, 문제를 풀기시작하면서부터 집중력이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했다. 때마침 학원에서 스터디를 원하는 사람들끼리 스터디를 만들어주었다. 그렇게 월요일저녁인가, 화요일 저녁인가부터 새로운 스터디원들과 함께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스터디를 시작했던것은 성공적이었다.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스터디를 잘 진행했던 것 같다. 진행은 매 시간 마다 각자 같은 문제를 풀고, 정해진 시간에 모여 각자의 풀이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했.. [20210617_TIL] 항해99_11일차 오늘 한 일: 1.알고리즘 문제풀기 2.자바스크립트 공부 1.알고리즘 문제풀기: 정말이지 오늘은 조금 익숙해진 기분이 들었다. 나 스스로 문제를 풀어서 제출했을 때, '맞았습니다'라는 이 초록색 글자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이런 초록색 문자를 맞이하게되니 조금씩 자신감이 붙기 시작하는 것 같다. 오늘은 스택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큐, dfs&bfs에 관련된 문제들을 풀었다. 특히 회전하는 큐라는 문제를 풀었을 때는 꽤 기분이 상쾌했는데, 나만의 풀이법을 생각해낸 것 같았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스터디원들과 풀이를 공유하니, 내가 풀었던 풀이방식이 많이 달랐던것 같았다. 다들 신기해해줬는데, 이것으로 기뻐하면서 계속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도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그 순간은 기분.. [20210616_TIL] 항해99_10일차 | dom 이벤트 버블링에 대하여 오늘 한 일: 1.알고리즘 문제풀기 2.스터디원과의 수다,,, 3.자바스크립트 공부 4.함께 자라기 : 애자일로 가는길 독서 1.알고리즘 문제 풀기: 오늘은 스터디원들과 같이 문제를 풀었다. 한 문제를 정해놓고 같이 1시간동안 풀어본 후에, 만나서 각자 어떻게 풀었는지를 공부하는 방식으로 하루동안 진행했다. 그렇게해서 오늘하루동안 풀었던 문제는 총 5문제 정도 되는 것 같다 오늘은 좀 알고리즘 문제풀기에 익숙해졌을까. 생각했었는데, 딱히 그렇게 익숙해지지는 않는 것 같다. 사실 오늘도 약간의 좌절감과 함께 하루를 마무리하는 느낌이다. 2.스터디원들과의 수다,, : 어제부터 학원에서 짜준 스터디원들과 함께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대화가 잘 통하고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하게 된 것 .. [20210615_TIL] 항해99_9일차 오늘 한 일 1.알고리즘 문제 풀기 2.자바스크립트 공부 1.알고리즘 문제 풀기 : 오늘은 스택과 관련된 문제들만 풀기 위해서 노력했다. 그렇게 해서 총 스택관련 문제는 4개 정도 풀 수 있었다. 솔직하게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점점 멘탈이 흔들리고 있다. 일요일이었던가. 나는 이 알고리즘 공부의 어려움에 당황하게 않겠다고 말했건만. 당황은 조금 늦게 찾아오는 것 같다. 조금 더 차분하게 생각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가능하다면, 문제의 답을 보지 않고서 풀고 싶다. 문제를 풀었어도 답을 보고 풀어버리는 경우에 내가 직접 푼 것같은 보람을 느낄 수가 없다. 공부를 한 것 같은 기분이 들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풀 수 없는 문제들이 있다. 그런 문제들의 경우에는 답.. [20210614_TIL] 항해99_8일차 | 알고리즘 공부법 오늘 한 일 : 1.알고리즘 문제 풀기 2.알고리즘 튜터 특강 듣기 3.자바스크립트 공부 1.알고리즘 문제 풀기 : 오늘은 하루종일 그냥 알고리즘 문제만 풀었다. 오늘 풀어낸 문제는 그래도 한 9문제 정도 되는 것 같다. 이전에 프로그래머스에서 하루에 한문제씩 풀어서 15문제정도 풀어뒀던것이 도움이 되려나 싶었는데, 사실 도움이 하나도 안된것 같다.ㅋㅋㅋㅋ15문제 정도 풀었던 것으로는 도움이 안되는듯 싶다. 그리고 지금 개념관련된 설명을 듣기는 했으나, 문제를 봤을 때, 아 이 개념을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바로 떠오르는 상태도 아니며, 개념이 떠올랐다고 할지라도 그 생각을 바로 코드로 옮길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되지는 않는 것 같다. 꽤 오랜시간의 고민을 한 후에야 문제의 답을 코드로 풀어낼 수가 있다.. [20210613_WIL] 항해99_7일차 이번에는 WIL이다. 한주간 배웠던 것을 기록하는 글이라고 해야하나. 항해 99의 일정을 기대하고는 있었는데, 막상 시작하니 기대 이상으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나는 이렇게 여러사람과 투닥투닥하면서 공부하는 것이 즐겁다. 아니 사실 혼자서 공부하는것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옆에서 누군가가 열심히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더 열심히 하게되는 것은 사실이다. 항해99는 그런 점을 잘 제공해준다. 사람들의 열정이 아주 뿜뿜거린다. 이번주에는 월요일부터 목요일 자정까지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사전과제동안 들었던 수업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로그인 기능과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구현한 웹사이트 하나를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였다. 이번에 코딩을 하면서 느꼈다. 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잠을 못잔다. 이건 .. [20210612_TIL] 항해99_6일차 오늘한일 : 1.알고리즘 강의듣기 2.자바스크립트 공부 오늘은 거의 하루종일 알고리즘 강의를 들었다. 간단하게 오늘 배웠던 내용에 대해서 나열만해보겠다. 1)이진탐색 : 배열에서 특정 요소를 찾고자할 때,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찾아나가는 것을 순차탐색이라고한다. 그러나 반으로 쪼개어 나가면서 탐색하는 것을 이진탐색이라고 한다. 시간적인 효율성 면에서 순차탐색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한다. 2)재귀함수 : 함수 내에서 해당함수를 또 호출하는 것이다. 해당 함수가 계속해서 반복되는 경우를 생각하면된다. 3) 선택정렬 : 특정한 요소를 선택하여 정렬한다. 정렬을 할 때, 키가 작다든지, 값이 더 작은 녀석을 선택해가면서 정렬을 해나가는 것이다. 4)삽입정렬 : 전체에서 하나씩 올바른 위치에 '삽입'하는 방식. .. [20210611_TIL] 항해99_5일차 오늘 한 일 : 1)알고리즘 강의 듣기 2)자바스크립트 한챕터씩 공부하기 1)알고리즘 강의 : 알고리즘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채로 문제를 풀어왔었다. 오늘로써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에 대한 강의를 듣게 되니, 정리되지 않던 내용들이 머릿속에 정리되어져 갔다. 시간복잡도에 대한 개념, 공간 복잡도에 대한 개념, 점근 표기법 등등을 배웠다. 시간 복잡도는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면서 몇번 오답이 나오는 것을 경험하면서 알게되었다. 이중반복문 같은 것을 사용하면 실행횟수가 n^2만큼이나 늘어나기 때문에,시간이 오래 걸릴 가능성이 높다. 그런 원인으로 오답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이렇게 몸으로 익혔던 개념을 오늘은 수업으로 들으니 더 잘 정리가 되었다. 다음으로 배운 내용은 링크드 리스트에 대한 내용이었다. 자료구..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