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35)
[20210717_TIL] 항해99_41일차 오늘 깨달은 것 : 뷰를 먼저 만드는 것의 불편함. 뷰는 단지 모양만 갖추고 나서, 나중에 디테일을 살리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훨씬 마음이 편한 것 같다.
[20210716_TIL] 항해99_40일차 오늘 한 일 : 클론코딩 기획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실제 포트폴리오에 반영할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열심히 해왔지만, 조금은 더 진지한 마음으로 임해보려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팀장의 역할을 맡게 되었기에, 팀장으로써 해야 할 역할에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보았다. 우선 모든 팀원들이 다 포트폴리오를 잘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이 있으며, 그것을 위해서 서로간의 소통을 잘 조율해야 할 역할이 있을 것 같다. 이를 위한 실천방안을 아주 간단히 생각해봤다. 소통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잘하는 사람은 너무 혼자서만 앞서가지 않고 못하는 사람도 너무 뒤쳐지지 않게 계속해서 팀원들을 체크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이번 클론코딩에서는 리디북스의 리디셀렉트라는 사이트를 클론하게 되었다. 내가..
[Javascript] 참조형과 원시형의 차이(reference vs primitive values) 해당 글은 리덕스의 리듀서 안에서 왜 state의 값을 mutate하면 안되는지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면서 알게 된 글입니다. 번역된 글임으로, 어색한 부분이 있다면 양해부탁드립니다. 원본 : https://academind.com/tutorials/reference-vs-primitive-values/ 먼저 원시형에 대한 이야기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원시형은 무엇일까요? 여기에 예시가 있습니다. var age= 28 여기서 age변수는 숫자 값으로 저장됩니다. 28이라는 숫자가 저장되지요. 이런 숫자 값을 우리는 원시형 값(primitive values)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이 녀석들은 자바스크립트앱의 매우 기본적인 building block이기 때문입니다. building block이 이해가 안된다..
[20210713_TIL] 항해99_37일차 오늘 한 일 : 1)스와이프 구현 2) 추가적인 리덕스 공부 3) 로그인체크 에러 고치기 1)스와이프 구현 스와이프는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발견해서 그것을 사용했다. 사용법은 매우매우 간단했기 때문에, 생각했던것보다 훨씬 빨리 구현했다. https://swiperjs.com/ Swiper - The Most Modern Mobile Touch Slider Swiper is the most modern free mobile touch slider with hardware accelerated transitions and amazing native behavior. swiperjs.com 2)추가적인 리덕스 공부 : 미니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시간적 여유가 생겼다. 그래서 몇일전에 결제했던 유데미의 강좌를 어제..
[20210711_WIL] 항해99_34일차 WIL : 심화주간을 끝마치고, 금요일부터 미니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첫 백엔드분들과의 협업이었다. 어떻게 협업이 이루어질지 막막했지만, 막상 시작해보니 그렇게 특별할 것은 없었던 것 같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api를 합의하에 잘 설계하는 것이었다. 기획을 하는데, 하루정도의 시간이 걸렸지만, 다음날까지 90%정도로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혼자하던 작업을 여럿이서 나눠서하다보니, 굉장히 빨리 끝난 것 같다. 이제 남아있는 기능은 로그인 기능이다. 로그인 기능도 백엔드분들은 기능구현을 마쳤다고 했으니, 이제 백엔드분들이 어느정도까지 구현해주셨는지를 확인하고, 남은 부분들을 프론트쪽에서 매꾸기만 하면, 프로젝트는 완성될 것 같아. 월요일 중에는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 남은 시간 동안에는 정신 바짝차..
[React] 리덕스의 작동원리 : 이론 리덕스는 어떤 원리로 작동되는가? 이것을 알아보기전에 한 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다면, 리덕스는 Central Data Store(중앙 데이터 관리실)를 가진다는 것이다. 리덕스를 사용하는경우 하나 이상의 Store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하자. 그렇다면, 우리는 이 하나의 스토어를 가지고 무엇을하는가? 우리는 Store를 가지고 무얼하는가? :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스토어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른 컴포넌트들은 이 스토어안에 있는 데이터를 받아와서 사용한다. 이렇게 스토어에 있는 데이터를 컴포넌트가 받아와서 사용하는 행위를 Subscription이라고 한다. 컴포넌트는 스토어에 Subscription 을 하고, 이렇게 했을 경우 스토어안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스토어는 구독중인 컴포넌..
[react] state의 3가지 정의, 리액트 콘텍스트의 2가지 단점 [내가 보기 위해 정리하는 강의자료] 리덕스란 무엇일까? A state management system for cross-component or app-wide state. 스테이트에는 3가지 정의가 있다. local State, Cross-Component State, App-Wide State. local State : 하나의 컴포넌트가 바뀌는데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이다. 이것은 하나의 컴포넌트에 종속되어 있다. 우리는 이런 state를 useState와 useReducer를 통해서 조작할 수 있다. Cross-Component State : 이것은 여러가지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치는 state이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rop chains혹은 prop drilling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부모 ..
[20210709_TIL] 항해99_32일차 오늘 한 일 : 미니프로젝트 기획 오늘은 하루종일 기획만 했다. 기획이 끝나고선 다들 개인적으로 정비를 하고, 각자 작업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