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5)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해당 글은 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계층별로 헤더가 붙여지면서,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나면 마지막에 이것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전기신호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이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 컴퓨터에 도착한다. 수신 측 컴퓨터에서는 전기 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한다.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랜 카드가 메인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내장형 랜 카드나 별도의 랜 카드를 가지고 있다. 0과 1의 정보가 컴퓨터 내부에 있는 랜 카드로 전송되고 랜 카드는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 [네트워크] 캡슐화와 역캡슐화 해당 글은 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의 앞 부분에 전송할 때 필요한 정보를담아서 보낸다.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하는데,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헤더를 하나씩 제거해나갈텐데 이것을 역캡슐화라고 부른다. 위 사진과 같이 왼쪽에서는 캡슐화를 진행해나가면서, 데이터에 헤더가 하나씩 붙여진다. 그리고 역캡슐화가 되면서, 헤더가 하나씩 해체된다. 계층5부터 계층7까지에 해당하는 응용계층에서는 웹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그 다음으로는 계층4인 전송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데,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 프로토콜, OSI모델과 TCP/IP모델 프로토콜 : 각 나라의 사람이 서로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하다. 서로 알아들 을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끼리도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규칙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프로토콜 :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 편지를 써서 다른 지역에 있는 사람에게 보내기 위해서도 규칙이 필요하다. 1)편지를 우체통에 넣어야 한다. 2)편지에 우표와 주소를 넣어야 한다. 등등의 규칙이 있다. 이렇게 서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한데, 이것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혼선이 생길 수 있다. 네트워크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토콜이라는 규칙을 정해서 소통을.. 가정과 회사에서 LAN이 구성되는 원리 가정 : 네트워크는 왠와 랜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정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랜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먼저 결정해야하는 것 2가지가 있다. 1)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2)인터넷 회선 이 그것이다. 그리고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비가 있다. 그것은 인터넷 공유기라고 하는 것이다. 인터넷의 연결 방식에는 크게 유선과 무선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랜 케이블이 필요하면, 유선이고, 필요없으면 무선이라고 부른다. 회사: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눈에 띄게 다른점이 있다면,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다. DMZ란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다. 무엇을 공개하는가? 서버를 공개한다. 주로 웹 서버, 메일 서버, DNS서버를 공개한다.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기 위해서.. 랜(LAN)과 왠(WAN)의 차이 네트워크범위에 따른 구분 LAN(local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눠진다. 건물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를 랜(LAN)이라고 한다. 아래 사진을 보면, 어렸을적 (나의 기준) 친구들과 같은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 근거리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접속해 게임을 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두번째 네트워크는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를 왠(WAN)이라고 한다. 이것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랜과 랜을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서울과 창원에서 각각의 사무실이 있을 때, 이 사무실 사이를 연결하고 싶을..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 bit와 byte 디지털 데이터란 :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룬다.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부른다.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비트를 여덟개의 숫자로 모으면, 이것을 바이트(byte)라고 부른다. 그래서 8비트는 1바이트가 된다. 컴퓨터를 이루는 0과 1만으로는 문자를 한번에 나타내기 어렵다. 그래서 각각의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미리 만들어두었다. 이 대응표를 문자 코드 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ASCII(아스키)코드가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ASCII 네트워크의 구조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실 이것은 컴퓨터에만 사용하는 단어는 아니다. 사람, 철도, 물류등등의 연결도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네트워크라고 한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더 세부적으로 말해보자면, 데이터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과 같은 일들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종류 중에는 인터넷이라는 것이 있다. 그렇다면 인터넷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인터넷이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패킷이란? 네트워크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고 해도, 그것을 위.. [20210818_TIL] 항해99_73일차 오랜만에 쓰는 TIL이다. 실전프로젝트를 신경 쓰느라 계속 TIL을 작성하는 것을 깜빡한다. 오늘 한 일 : 1) 웹페이지 반응형으로 페이지 만들기 2) 웹소켓에 대한 공부 슬슬 면접을 지원할 시기가 다가오니, 알 수 없는 부담감이 다가오는 것 같다. 지금과 같은 실력으로도 회사에 지원해도 괜찮은 것일까. 등등의 생각이다. 요즘들어서 점점 더 공부할 것이 많다고 느껴진다. 아직 나는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공부를 하지 못했다. 조급하지 말자. 그리고 지금 주어진 시간들 속에서 얼마나 높은 집중력을 발휘하면서,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지도 중요하다.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0 다음